![]() |
: 비봉관리자 ![]() |
![]() |
: 2021-10-22 | ![]() |
: 15923 |
---|---|---|---|---|---|
![]() |
: 보강재를이용한방수공사시방서(유리섬유시방서).pdf / size: 43.6 KB |
부직포 유리섬유 시방서
보강재를 이용한 방수 공사
1-1 보강재의 소개
보강재는 방수제와 친화성이 좋고 일체화하여 보강효과를 갖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하고 시공에 지장없는 것으로 사용하는게 좋다.
1-2 보강재 삽입효과
바닥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도박 방수층의 도시 파단 혹은 지속적인 인장력에 대한 크리프 파단의 위험을 경감하며 보강재에 균등하게 도막재를 바름으로써 균일한 도막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치켜 올림부나 경사면에서 도막방수재의 흘러 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 보강재 종류
보강재 종류는 유리섬유 장섬유를 평짜기한 유리섬유 직포 (하이바그라스) 등 합성섬유를 실로 만들어 짠것이 합성섬유 직포이고 솜을 바로 압착시켜서 만든 것이 합성섬유 부직포이다
* 보강재 제품별 특징
3-1 유리섬유직포 (w-909,w-505)
방수재 투과성 강도, 내약품성 치수 안정성과 작업성이 우수하고 신장율이
작다는 것이 단점이다.
3-2 합성섬유직포
방수재 투광성 작업성이 우수하고 강도 신장률 열에 약하고 쓸림 현상이 심한게 단점이다.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량을 올려서 생산을 하면 단점을 보완 할 수는 있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지므로 권장하지는 않는다.
3-3 합성섬유 부직포(30wp, 60wp)
내열성 내후성 두께보강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poyester의 합성섬유로 생산하고 있고, 방향성이 작아 모든 방향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물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고 방수재 투과성이 작다. 하지만 부직포에 구멍을 뚫어 투과성을 높여 우수하다.
보강재 공정 (시공순서 )
프라이머 도포
방수재 1차 바름
방수재 1차 바름 위에 보강재(유리섬유, 부직포등을 )를 깐다. 보강재는 들뜸 주름 등이 생기지 않도록 주걱이나 로울러 등으로 눌러서 밀착시킨다. 보강재의 겹침 폭은 50mm ~ 100mm 정도 겹치게 한다.
방수재 2차 바름.
상도 필요시 3차 바름
![]() |
![]() |
![]() |
![]() |
![]() |
|||
---|---|---|---|---|---|---|---|
118 | 탈기반 에어밴드 설명서 | 비봉관리자 | 2021.10.22 | 16835 | |||
116 | 발포주입기계 제품사진 및 시방서 (우레탄 발포제) | 비봉관리자 | 2021.07.20 | 17494 | |||
» | 부직포 유리섬유 시방서 | 비봉관리자 | 2021.10.22 | 15923 | |||
122 | 자가수동펌프인젝션 주입기계 (소량시공시 사용추천) | 비봉관리자 | 2021.12.20 | 14192 | |||
120 | 주사기공법 시방서 (건식 습식) | 비봉관리자 | 2021.10.22 | 15308 |